티스토리 뷰

코멘토에서 라이브 PT - 'Firebase와 GA4로 사용자 데이터 수집하고 제품 개선하기' 수업을 들었다.
이에 대해 내용 복습 및 학습 일지 챌린지 참가를 위해 작성한다.


3주차는 대게 실습 위주로 진행하였다. 이 중 중요한 부분 정리하여 남겨놓는다.

❓전환율 측정시 어떤 지점을 기준으로 잡는 것이 좋은가?( 클릭 기준)
단순 클릭으로 하게 될 경우, 하나의 IP가 여러번 클릭하면 모두 집계로 잡히기에 좋은 지표가 아니다. 또한 어떤 노출 이 후에 사용자의 행동이 변했는지를 측정하는게 목적이므로 클릭수 자체를 측정하는 것 보다는 "클릭한 사용자의 수"를 측정하는 것이 좋다.

유저 정보를 어떤 것들을 수집할 것이냐 (주소, 이전 구매 기록 등) 도 매우 중요하다!



GA4 계정 생성 시 여러가지 옵션들을 선택하는 것들이 있는데.. 매우 복잡하더라.. 우선 GPDR은 선택 안해도 되는 듯



GA4를 내 사이트에 적용하는 방법
아래의 코드를 나의 웹 사이트 <head> 부분에 넣어주면 된다. (*GA4 식별자는 각자의 GA4 식별자를 넣으면된다.)

<!-- Global site tag (gtag.js) - Google Analytics -->
<script async src="https://www.googletagmanager.com/gtag/js?id=GA4 식별자"></script>
<script>
  window.dataLayer = window.dataLayer || [];
  function gtag(){dataLayer.push(arguments);}
  gtag('js', new Date());

  gtag('config', 'GA4 식별자');
</script>

버튼을 클릭 할 때 GA4 트랙킹을 위해서는 버튼 동작 관련 js에 아래 코드를 추가해주면 된다.

 gtag('event', 'click', 
         {
    text: "dipped"
          }

이렇게 할 경우 아래와 같이 GA4에 뜬다.





라이브 PT 강의에 관심 있으시면 아래 링크로 접속하시면 됩니다.
https://bit.ly/3D9XCOz

*본 영상은 라이브 PT 강의를 수강 후 환급을 위한 학습 일지 챌린지 참가 및 내용 복습을 하기 위해 작성한 글입니다.

공지사항
최근에 올라온 글
최근에 달린 댓글
Total
Today
Yesterday
링크
«   2025/05   »
1 2 3
4 5 6 7 8 9 10
11 12 13 14 15 16 17
18 19 20 21 22 23 24
25 26 27 28 29 30 31
글 보관함